에세이34 책 리뷰: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무라카미 하루키 무라카미 하루키의 데뷔작인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를 읽었다. 사실 읽은 지 꽤 되었는데 심심하면 꺼내 들어서 처음부터 끝까지 술술 읽기를 세 번째다. 책도 얇고 문장도 읽기 쉽다. '편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 '편하다'는 느낌은 무라카미 하루키 특유의 문체에서 주는데 굉장히 질투가 날 정도로 부러운 실력이다. 물론 독자에게 이 정도의 편함을 제공하기 위해 하루키도 나름의 치열한 노력을 했으리라. 그의 첫 소설인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는 이미 하루키적 요소를 가득 담고 있다. 친구의 별명은 '쥐'이고(양머리 사나이가 나만 떠오르나), 주인공은 혼자 책을 읽고 시큰둥하다. 뭔가 젠체한다. 그리고 주인공과 엮인 여자는 잠깐 실종, 행방불명 상태이다. 하루키적 요소인 상실과 자아 그리고 모던함이 느껴지는.. 2020. 4. 10. 열 번째 이야기, 손 꼭 잡고 어두운 트리니다드 밤길 걷기 쿠바 여행을 한 달을 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은 것은 저녁을 먹고 쑤와 어두운 트리니다드 길거리를 걸으며 50원짜리 아이스크림을 먹으러 가던 추억이다. 한국인 여행객에게 유난히 유명한 트리니다드의 차메로네차메로네 까사에는 머물렀던 지난 여행객들의 방명록이 있다. 거기에는 직접 수기로 적은 여러 정보들이 있다. 차메로네에서 가까운 곳에 1 모네다(거의 50원) 짜리 아이스크림 가게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아이스크림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내가 떼를 써 같이 갔다. 나왔는데 웬걸 해가 저물자마자 마을이 급격하게 어두워지는 것이다. 거리에 가로등이 부족하고, 간판 같은 것도 찾아볼 수 없으니 주택에서 새어 나오는 희미한 조명만이 길거리를 비추고 있었다. 어딘지 모르면서 계속해서 걸어 내려갔고, 불 다 꺼진 .. 2020. 4. 10. 열여덟 번째 이야기, 역시 집밥이 최고 다른 나라를 여행하거나 체류해봐도 역시 '집밥이 최고'라는 점은 변치 않는다. 나에게 한국에서 가장 맛집은 우리 엄마가 차려준 한상이고, 이탈리아 최고 음식은 친구네 집에서 잠깐 머물 때 먹은 라자냐다. 집 뒤뜰에서 키우는 토마토를 따와 그대로 소스로 만든 라자냐였는데 진또배기였다. 멕시코 시티에서 쑤의 친구네 집에서 친구 어머니가 해준 멕시코 가정식 저녁은 멕시코에서 먹은 음식 중 최고였다. 엄지 척! 쿠바에서도 이 진리가 통할 지 몰랐다. 워낙 음식이 맛없다는 말을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일단 쿠바 음식이 맛없다고 한 사람들은 손들고 벌 서 있자. 정말 맛있는 음식을 제공하는 레스토랑도 많았고, 편차가 커서 그렇지 충분히 괜찮은 식당들도 많았다. 쿠바 여행 문화 특유의 형태가 있는데 바로 '까사'다... 2020. 4. 6. 책 리뷰: 무라카미 하루키의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하루키의 소설보다 에세이가 좋다. 하루키 일상의 여백도, 잡문집도,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그리고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그렇다. 소설은 어둠의 저편과 노르웨이의 숲,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를 읽었다. 아직 그의 대표 장편 ‘1Q84’와 최근 ‘기사단장 죽이기’는 읽지 못했지만 그의 문체나 색깔은 조금 알지 않을까 하는 정도다. 그의 에세이는 소설만큼 매력적인 그의 삶에 대한 철학과 가치관을 표현한다. 작지만 확실한 행복, 소소한 일상의 여유, 조직이나 국가에 속하지 않고 관계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움은 많은 사람들이 선망하던 삶의 태도이고, 그러한 삶의 표본이다. 나도 그렇다. 어릴 때부터 세계여행을 꿈꾸고 낭만을 그렸다. 고등학생 때는 세계 여행을 다니는 .. 2020. 4. 1.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